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파사드 출입문 인테리어 파사드(Facade)란? 파사드의 사전적인 의미는 "건물 출입구가 있는 정면부"인데 보통 건축물의 입구를 꾸민 데코를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됩니다. 음식점 같은 경우 파사드는 점포의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데요. 지식산업센터 호실도 외부 파사드가 주는 첫인상은 매우 큽니다. 준공 후 지식산업센터의 모든 호실은 기본 단색 철제 방화문만 있는 천편일률적인 모습을 하게 되는데요. 방화문외에 입구에 아무것도 없이 명판만 달려있는 호실과 입구에 파사드로 디자인 요소를 주어 시선을 사로잡는 호실은 첫인상에서 많은 차이를 주게 됩니다. 보통 최초에 설치된 방화문만 가지고 사용하는 호실은 많지 않고 내부에 강화유리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호실 분할과 기둥 위치 분양 홍보자료를 보면 기둥의 위치를 도면에서 확인하라는 문구가 있는데 대부분은 이런 문구를 주의 깊게 보지 않고 도면의 호실 크기나 위치만 확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지식산업센터 도면을 볼 때는 호실 내부에 기둥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인접한 호실을 매입하여 합치거나 분양받은 호실을 분할하는 경우를 고려하는 경우 기둥의 위치는 매우 중요합니다. 기둥 위치가 중요한 이유 일반적인 호실의 경우 코너 모서리에 기둥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가끔 호실 중간에 기둥이 있는 호실들이 있는데요. 이런 경우 향후 호실을 분리하여 2개로 만드는 경우 출입문에서 기둥이 시야를 가리거나 내부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램프 (RAMP) 램프(RAMP)란? = 주차장 진입 경사로 지식산업센터가 아니더라도 대부분의 건축물을 계획하면 주차계획이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되는데요. 도심지의 대지 여건상 건물 외부에 법정 주차대수를 다 배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지상주차장이나 지하주차장을 계획하게 됩니다. 이때 차량이 주차장까지 진입하는데 필요한 경사로(RAMP)를 램프라고 합니다. 참고로 주차장 경사로 램프에 대한 조건은 주차장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차장법 시행규칙 제6조 1항 5호 가. 높이는 주차 바닥면으로부터 2.3미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나.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6미터(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총 주차대수가 50대 이하인 경우에는 5미터, 이륜자동차 전용 노외주차장의 경우..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지하공장 / 지하창고 지하창고 인기 있는 이유 창고는 지원시설로 주로 지하층에 위치합니다. 지상층의 공장을 쓰는 기업 중에 1개 호실을 추가로 임대하기는 부담스럽지만 보관해야 하는 짐들이 많은 기업 입장에서는 창고가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지역에 따라 인기가 많은 곳이 있습니다. 일반 호실에 비해 습기 문제나 전기가 약하기 때문에 분양 가격은 저렴하지만 수요기업이 많은 경우 임대료는 상대적으로 높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높아 투자자에게도 인기가 많습니다. 지하 호실 고르는 팁 자하에 있는 공간을 선택해야 하는 경우라면 습기 문제 발생 가능성이 적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호실의 천장 위가 흙이거나 벽면이 흙과 맞닿아있는 자하라면 방수가 잘되어도 습..
지식산업센터투자 호실 고르기 - 드라이 에어리어 (DA, Dry Area) DA (Dry Area) 드라이 에어리어 지하층 도면을 보면 DA로 표시된 공간들이 있는데 이곳은 지하층의 외벽 천장을 뚫어 햇빛이 들어 밝고 쾌적하고 환기가 잘되는 공간을 만들어주는 드라이 에어리어입니다. DA가 있는 지하는 꽉 막힌 지하에 비해 상대적으로 쾌적한 근무환경을 제공합니다. 또한 지하층의 가장 약점인 땅과 맞닿은 공간들에서 올라오는 습기 문제를 잡을 수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 지하층 내부 공간 벽과 DA 공간의 외벽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생기는데 이 공간에 공기층이 생기므로 방습효과가 생기게 됩니다. 썬큰 vs 드라이 에이리어 지하공간은 발생하기 쉬운 습기와 환기 문제를 개선하고자 지하에도 창문을 달고 일정한 ..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고르기 - 화장실 화장실 위치 화장실 바로 앞 호실은 소음과 냄새등으로 대부분 선호하지 않습니다. 화장실 구조 화장실의 도면을 보면 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최근에는 호텔이나 백화점처럼 화장실의 공간이 분리되어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곳들도 있습니다. 화장실 개수 화장실은 보통 층별로 남녀 1개씩 설치되는데 층당 면적이 넓은 곳은 2개씩 배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층별 면적과 상주인원 대비 화장실 개수와 크기가 적절한지도 체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엘리베이터 화물 엘리베이터 물건의 이동이 많은 기업은 화물 엘리베이터에 가까운 호실을 선호하게 됩니다. 화물 엘리베이터를 체크할 때는 화물 엘리베이터와 호실 간의 거리 외에도 호실까지의 동선을 체크해야 합니다. 거리는 가깝지만 동선이 불편한 경우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화물 전용 엘리베이터보다는 화물과 사람 수송 겸용으로 사용하므로 엘리베이터에 가까운 호실은 장점이 많습니다. 일반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바로 앞 호실은 호불호 가이 있습니다. 전시 효과가 필요한 회사라면 엘리베이터에서 보이는 회사 로고와 파사드로 해당 층이 사옥처럼 느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인기 있는 지식산업센터 고층부에 가보면 한 개 회사가 대부분의 호실을 차지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고르기 - 썬큰(sunken) 썬큰 (Sunken) 썬큰 공간은 지하의 일정 부분을 파서 햇빛이 들어오게 만든 공간을 말합니다. 지하층과 지상층이 상가로 구성되는 상황에서 썬큰 공간이 생기면 채광과 환기가 좋아지고 지하지만 지상같은 호실의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사례로 문정동 테라타워의 지하 상가는 천장이 오픈된 썬큰 형식으로 설계 되었습니다. 도면상으로는 지하에 위치한 상가같지만 실제 지어진 모습을 보면 자연 채광이 가능하여 지하지만 지상같은 상가로 인기가 많습니다. 썬큰은 개방감과 오픈된 천장의 채광을 통한 밝은 느낌외에도 통풍에도 장점이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고르기 - 중정구조 중정 중정은 건물과 건물 사이에 위치한 넓은 공간으로 중정이 설계되면 건물 내부가 뻥 뚫린 형태의 지어집니다.중정은 주택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구조로 주로 'ㄷ'자와 'ㅁ'자 형태의 구조가 있습니다. 중정이 설치되면 해당 부분은 연면적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용적률에도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용도에 맞게 정해진 용적률을 지어야 하는 땅에서 가운데 부분이 비어지고 다른 공간으로 용적률이 채워지면상대적으로 건물 전체가 커보이게 되므로 규모있는 외형 이미지를 만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정을 끼고 있는 호실은 뚫린 개방감으로 사방이 막힌 호실에 비해 쾌적한 느낌의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바로 외부에 맞닺아 건물 내부에 있는 호실보다는 냉난방 효율은 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식산업센터 투자 호실 고르기 - 실외기실 지식산업센터의 도면을 보고 호실을 선택할때 코너호실의 발코니 서비스 면적 같은 부분은 잘보지만 실외기실 위치는 파악하지 않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실외기실이 어디에 생기는지 파악하고 호실 내부, 외부에 설치에 따른 장단점을 파악하면 호실 선택에 도움이 되므로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실외기실의 위치는 크게 2가지 형태가 있는데요. 각 호실 내부 공간에 별도의 실외기실을 만들어 두는 방법과 외부에 통합 실외기실을 두어 각 호실까지 배관으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설치방법에 따른 각각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개별 호실 내부 실외기 각 호실 내부 공간에 별도의 실외기를 두는 경우 실외기실이 내부에 있으면 냉난방 효율은 좋습니다. 하지만 ..
브라이튼 여의도 오피스텔 인기있는 이유 (분양가 / 경쟁률) 여의도에서도 최중심 입지에 들어서는 랜드마크 오피스텔이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 옛 MBC 땅에 최고 49층으로 올라가는 '브라이튼 여의도'(조감도) 오피스텔이 그 주인공이다. 브라이튼 여의도 오피스텔 사면이 모두 한강으로 둘러싸인 여의도의 희소성에 서울 최대 백화점과 마천루 사이에 들어서는 초고층 오피스텔은 도시생활을 꿈꾸는 젊은 층에게 꿈의 주거 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다. '여의도 MBC 부지복합개발 PFV'는 지난 26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31(옛 MBC 용지)에 조성하는 랜드마크 복합단지 브라이튼 여의도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이번주 분양에 돌입한다. 이 단지는 지하 6층~지상 최고 49층 4개동에 전용면적 84~136㎡ 아파트 45..
생활형 숙박시설 법규내용 (숙박시설의 종류) ■ 숙박시설의 분류 건축 관계법령에서는 생활숙박시설에 대해 정의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건축법 시행령」 별표1에서 다음과 같이 숙박시설을 분류하고 있습니다. 15. 숙박시설 가. 일반숙박시설 및 생활숙박시설 나. 관광숙박시설(관광호텔, 수상관광호텔, 한국전통호텔, 가족호텔, 호스텔 등) 다. 다중생활시설(500㎡ 이상의 고시원을 말함) 라. 그 밖에 가목부터 다목까지의 시설과 비슷한 것 [참고] 건축법 시행령 별표1 -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제3조의5 관련) ■ 숙박업의 분류 「공중위생관리법 시행령」 제4조제1호에서 숙박업을 일반숙박업과 생활숙박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4조(숙박업의 세분) 법 제2조..